11
02
📺 1분 트렌드

직장 내 '리턴십(Returnship)' 프로그램이 뜨는 이유

🎬 HOOK

정규직 전환율 80%! 경력단절자들이 '리턴십'으로 화려하게 돌아온다

현대적인 오피스 환경에서 자신감 있게 일하는 전문직 여성
직장으로 복귀하는 전문직 여성의 모습
💡 CONTEXT - 리턴십이란 무엇인가?

리턴십(Returnship)은 'Return(복귀)'과 'Internship(인턴십)'을 합친 신조어입니다. 육아, 간병, 자기계발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중견 전문인력이 다시 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죠.

이 제도는 2008년 골드만삭스가 처음 도입했습니다. 이후 IBM, 애플, 메타 등 글로벌 기업들이 적극 도입하면서 확산되었고, 한국에서도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.

기존 인턴십이 신입사원을 위한 제도라면, 리턴십은 이미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중견 인력을 위한 '재시작' 프로그램인 셈입니다.

📈 POINT 1 - 놀라운 성과, 숫자로 보는 리턴십
정규직 전환율: 50-80% (출처: The Interview Guys, 2025)
참가자의 98%가 프로그램이 직무 성공에 기여했다고 응답 (출처: reacHIRE)
참가자의 96%가 온보딩 후 자신감 향상 (출처: reacHIRE)
링크드인 조사: 경력단절 후 복귀한 53%가 "이전보다 업무를 더 잘한다"고 응답
69%가 "경력 공백이 업무 능력 향상에 도움"이라고 답변
기업명 프로그램 기간 정규직 전환율 특징
골드만삭스 10주 약 50% 다양한 부서 로테이션
IBM 12주 70%+ 재취업 여성 특화 프로그램
애플 16주 60%+ 기술 분야 집중
메타 8주 65%+ 멘토링 집중 프로그램
리턴십 프로그램 통계 인포그래픽
리턴십 프로그램의 성과 지표
📈 POINT 2 - 왜 지금 리턴십이 뜨는가?

🔹 이유 1: 인구 감소와 인재 부족

저출산·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대. 기업들은 숙련된 중견 인력 확보가 절실합니다. 이미 검증된 전문성을 가진 경력단절자들이 새로운 인재풀로 주목받고 있죠.

🔹 이유 2: 다양성 경영 트렌드

ESG 경영이 화두인 요즘, 여성 인력 활용과 포용적 조직문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 리턴십은 다양성 지표 개선의 효과적인 방법이 되고 있습니다.

🔹 이유 3: 경력단절자의 숨겨진 강점

육아와 간병 경험을 통해 얻은 성숙한 판단력, 위기관리 능력, 멘토링 역량. 이런 '소프트 스킬'이 조직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합니다.

🔹 이유 4: 기업의 확실한 ROI

채용비용 절감, 높은 정규직 전환율, 충성도 높은 인재 확보까지. 리턴십은 기업에게도 매력적인 투자입니다.

"경력공백은 약점이 아닌 다른 관점의 경험"
✅ SUMMARY

리턴십은 경력단절자와 기업 모두에게 윈-윈입니다. 인구절벽 시대, 숨겨진 인재풀을 활성화하는 스마트한 채용 전략이자 포용적 조직문화의 시작입니다. 단순히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, 다양성과 경험의 가치를 인정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라고 볼 수 있죠.

🎤 CLOSING

"경력의 쉼표는 이제 마침표가 아닙니다. 리턴십으로 새로운 챕터가 열립니다. 1분이면 트렌드를 읽습니다. 1분 트렌드."

📚 참고 출처

  • The Interview Guys, "The 2025 Guide to Landing a Returnship After a Career Break" (2025)
  • reacHIRE, "From Career Break to Career Boost: The Rise of Return to Work Programs"
  • LinkedIn, "How Returnship Programs Empower Employees"
  • 골드만삭스 공식 리턴십 프로그램
  • Harvard Business Review, "Return-to-Work Programs Come of Age" (2021)
  • 한국경제, "[시론] 인턴십? 리턴십!" (2024.04.18)
728x90
반응형
LIST
COMMENT